과학인문학 편지 (2) <봉지털기 245-2> 2009년 10월 3일자의 '시간 속의 수호자들'에 대한 기사도 아주 좋습니다. "문제는 세계 각 실험실에서 고유한 시계 유형을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유형들을 상호 비교할 수단이 없다면 그러한 개발은 별 의미가 없다고 파리천문대에 위치한 국립도량형측정.. 봉지털기2 2013.08.19
과학인문학 편지 <봉지털기 245 > 아르키메데스는 매우 고결하고 심오한 정신의 소유자로서 과학적 관찰의 보물을 실로 풍부히 거두어들였으나 그에게 인간을 넘어 신에 필적하는 지성이라는 명성과 평판을 안겨준 여러 벌명품에 대해서는 어떠한 글도 남기기를 원치 않았다. 그는 역학과 삶의 필요.. 봉지털기2 2013.06.24
망설일 것 없네 당장 부처로 살게나 <봉지털기 244> "자업자득 자작자수"입니다. "자신이 행위하는 대로 그 삶이 이루어진다. 자신이 만든 것은 자신이 받는다. 그러므로 언제나 주체적이고 자립적이고 창조적으로 살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부처든 부모든 그 누구도 내 인생을 대신 살아 줄 수 없습니다. 죽으나 사나, 좋.. 봉지털기2 2013.05.19
난세에 답하다 (5) <봉지털기 243-5> '난마'란 얽히고 설킨 실타래를 말한다. 이런 실타래를 한 올 한 올 풀려다가는 부지하세월이다. 이런 때는 칼로 잘라야 한다. '쾌도난마'란 표현이 여기서 나왔다. 요컨데 먼 길을 돌아 조나라 한단을 구원하기보다는 위나라 수도 대량을 공격함으로써 조나라를 구한.. 봉지털기2 2013.05.05
난세에 답하다 (4) <봉지털기 243-4>> 한순간 내게 보배가 될 존재는 어디서 찾을까. 앞서 말했듯 진시황의 아버지 자초를 왕위에 올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여불위다. 그는 진시황이 13세 때 황제로 즉위하자 실질적인 권력을 휘두르며 섭정했다. 당시 여불위가 자초를 보면서 한 말이'기화.. 봉지털기2 2013.04.19
난세에 답하다 (3) <봉지털기 243-3> 거칠게 말해 사마천은 천재다. 그 까닭은 '호견법' 때문이다. 다시 한 번 사기의 체제를 살펴보자. 사기는130권, 52만 6,500자로 이루어져 있다. 방대한 역사책이다. 추대 사람들은 사기의 서술 기법 가운데 '호견법'이란 것을 끌어냈다. 또 이 기법으로 인해 사기의 내용.. 봉지털기2 2013.04.08
난세에 답하다 (2) <봉지털기 243-2> 제환공의 열린 인사 정책을 잘 설명해주는 고사성어가 ‘정료지광(庭燎之光)’이다. ‘정료’는 ‘뜰에 횃불을 매달아 밝혀놓는다’는 뜻이다. 제나라 국군의 자리에 오른 후 제환공은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자신의 집무실, 즉 궁전 뜰에 횃불을 환히 밝혀놓고 24.. 봉지털기2 2013.03.27
난세에 답하다 <봉지털기 243> 사기는 그 분량부터 방대하다. 권수만 130권이고 글자 수는 52만 6,500자에 이른다. 130권을 다시 체제로 분류하면 본기, 표, 서, 세가, 열전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런 역사서 체제를 '기전체'라고 부른다. '본기'는 황제에 관한 기록이다. 그러나 사기에는 <항우 본기>가 .. 봉지털기2 2013.03.12
고사성어 문화답사기 (3) <봉지털기 242-3> 韋編三絶(위편삼절) :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사기-공자세가에서 拔苗助長(발묘조장) : 급하게 서두르다 오히려 일을 망친다는 뜻. 송나라 때. 才高八斗(재고팔두) : 재주의 뛰어남이 여덟 말이라는 말로 문인의 재주가 뛰어나다는 뜻. 삼국시대 때. 得意揚揚(득의양.. 봉지털기2 2013.03.05
고사성어 문화답사기 (2) <봉지털기 242-2> 麥秀之歌(맥수지가) : 보리 이삭이 무성함을 노래한다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함을 한탄함. 은허에서 듣는 망국의 노래. 炮烙之刑(포락지형) : 불에 달군 쇠로 단근질하는 형벌로 은나라 주왕 때의 잔인한 사형 방법을 이르는 말. 은나라의 잔혹한 형벌. 酒池肉林(주.. 봉지털기2 2013.03.02